초두효과 정의
초두효과(Primacy effect, 初頭效果) 란 첫 만남에서 느낀 인상, 외모, 분위기 등이 그 사람에 대한 고정관념을 형성하여 대인관계에서 작용하는 것이라 정의됩니다. 즉 사람은 새로운 정보를 맞이하게 될 때 처음에 받아들이는 정보가 그 정보에 대한 전체적인 이미지를 만든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이러한 초두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이유는 우리의 뇌가 정보를 습득할 때 본능적으로 일관성 있게 받아들이고자 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처음에 입력된 정보가 긍정적인 것이면 뒤따라 오는 정보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처음에 입력된 정보가 부정적이라면 나중에 입력되게 될 정보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왜냐하면 뇌는 항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싶어 하기 때문이죠. 처음에 인지한 정보가 긍정적이라면 나중에 인지한 정보도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부정적으로 판단하는 것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기 때문입니다. 인간관계에서 초두효과를 가장 잘 표현해주는 단어는 바로 '첫인상'입니다. 첫인상은 1초도 안 되는 시간 내에 결정이 된다고 하는데, 뇌는 그 짧은 시간 동안 그 사람에 대한 판단을 미리 해버리는 것이죠. 물론 첫인상을 뒤집을 정도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 첫인상의 판단을 바꿀 수 있겠으나, 첫인상이 좋다면 훨씬 큰 보너스 점수를 얻고 시작하게 되는 겁니다.
초두효과 사례
솔로몬 애쉬의 실험
심리학 및 사회심리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솔로몬 애쉬는 이러한 초두현상을 증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습니다. 무작위로 선별한 실험 참가자들에게 A라는 사람과 B라는 사람의 성격을 알려준 후에 두 사람에 대한 평가를 해달라는 것이었죠. A와 B의 성격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A : 근면하다, 성실하다, 똑똑하다, 화가 많다, 이기적이다, 냉소적이다.
B : 이기적이다, 냉소적이다, 화가 많다, 근면하다, 성실하다, 똑똑하다.
그런 다음 실험 참가자들에게 두 사람에 대한 평가를 해달라고 했을 때 A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좋았던 반면에 B에 대한 평가는 좋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보다시피 두 사람의 성격에 대한 정보는 똑같습니다. 단지 순서만 바꾸었을 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A는 근면하고 성실하다는 긍정적인 단어가 먼저 눈에 띄었기 때문에 좋게 평가한 반면, B는 이기적이고 냉소적이라는 부정적인 단어가 먼저 눈에 띄었기 때문에 안 좋게 판단하게 된 것입니다.
초두효과의 반대 : 최신효과
이러한 초두효과와 반대되는 뜻을 가진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최신효과(Recency effect, 最新效果)입니다. 초두효과가 처음에 인지한 정보의 중요성을 나타낸다면 최신효과는 여러 가지 정보가 주어졌을 때 가장 나중에 제시된 것을 잘 기억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다른 말로는 신근성 효과, 막바지 효과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최신효과와 초두효과 중에 어떤 것이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는 정보의 성격, 그리고 수용자의 태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만약 정보가 A라는 사람에게 익숙한 정보라면 A는 정보를 들었을 때 바로 판단을 내리고 뒤 이어서 나오는 정보들에는 주의를 가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B라는 사람이 정보를 들었을 때 모르는 정보에 대해 듣게 된다면 끝까지 집중력을 가지고 들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마지막 정보까지 습득하기 위해 최신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사람의 개별적인 성격, 그 순간의 분위기와 컨디션 등 수많은 요인에 따라 초두효과가 더 우세할 수도, 최신효과가 더 크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초두효과와 최신효과 모두 분명 효과가 있는 현상이라는 겁니다. 발표회를 들을 때 모두 엇비슷한 실력과 내용이라면 처음과 마지막에 발표를 한 사람들이 더 잘 기억에 남는 것은 이 두 가지 현상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케팅에서도 이 두 가지 효과를 노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합니다. 초두효과와 최신효과를 잘 이용하여 인간관계에서도 더 좋은 결과들을 얻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 속 심리학 : 혼자서 살 수는 없을까 (0) | 2022.12.23 |
---|---|
최신효과 & 후광효과 : 정의, 사례 (0) | 2022.12.22 |
확증편향이란? 정의, 사례, 해결책 (0) | 2022.12.21 |
깨진 유리창 이론 : 정의, 활용사례, 반론 (0) | 2022.12.21 |
플라세보 효과(위약효과) : 정의, 문제점, 노시보 효과 (0) | 2022.12.20 |
댓글